티스토리 뷰

1. 단거리 승객 회피 문제에 대해 앱 자체에서 배차, 탑승 후 목적지 공개

 

출처 : 앱스토어 리뷰

카카오택시를 사용하다 보면 단거리 사용자들을 회피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카카오택시의 문제점에 대해 검색을 해 보면 가장 먼저 제시 되는 문제 또한 단거리 승객 회피 문제이며 앱 리뷰에서도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이 문제점을 언급 하고 있다. 

 

카카오택시의 이런 기형적인 행태는 승객들의 목적지를 알고 호출을 승낙하는 서비스 특성상 택시기사들이 이른바 ‘돈이 되는’ 중장거리 승객을 골라서 태우기 때문이다.

 

카카오택시 도입 이후 단거리 승객은 오히려 택시를 잡기가 어려운 상황이 심해지고 있다. 이는 급한 일이 있어 택시를 사용해야 하는 승객에게 불편함이 될 수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택시 도입 이후 승객들은 현재 위치에서 택시를 부를 수 있고 기사들도 콜이 크게 늘어나면서 일평균 수입이 11만원에서 15만원으로 37% 늘어나는 효과를 보고 있다”며 “출퇴근 시간에 택시를 잡기 어려운 건 공급과 수요에 따른 문제”라고 밝혔지만,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는 것이 옳은 것 같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1) 주변 근거리에 있는 택시를 앱 자체에서 배차 하도록 하는 것이다. (티맵 선 시행 )혹은,

 

2) 목적지를 승객 탑승 후에 기사의 화면에 목적지의 정보를 나타나게 하는 방법으로 해결점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 하지만 1) 의 경우 택시 기사님의 입장에서는 부정적일 수 있음으로 2 번의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2. 애완견 탑승 문제, 흡연자 운전자의 경우 사용자 이용시 특별사항 기입 ( 미리 탑승객의 정보를 입력 할 수 있게 함 ).

 

 

 

출처 : 앱스토어 리뷰

 

출처 : 앱스토어 리뷰

앱의 리뷰를 확인 해 보면, 승객의 정보에 따른 택시의 매칭 부분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의견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어린아이 승객이 있는 경우 흡연자인 택시기사의 택시에 탑승 했을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가 애관견과 함께 탑승해야 하는 경우, 택시 기사에게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 서비스 사용자의 특별 사항을 따로 기재 하는 부분을 만들어 택시 기사에게 호출 알람이 떴을때 제공 되게 하거나 사용자가 근접한 택시 중에서 특별 사항을 확인 한 후 탑승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도입 하면 좋을 것 같다. 

 

카카오택시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 한다면 좀 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택시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게 하며, 많은 승객들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 같다. 

 

 

 

 

 

3. 사용자의 번호 노출시 , 별점과 같은 기능이 별로 의미가 없을 수 있음

 

 

종종, 택시 운전자가 승객에게 불친절하거나 또는 불편한 상황이 생겼을 경우, 운전자에게 별점을 매기거나 평가하는 방식으로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안심 번호를 제공함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서비스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안심번호 서비스는 수신일 때에만 제공된다. 예를 들어 택시 승객이 택시를 호출하는 경우 안심번호로 대체되어 택시기사에게 수신되지만 사용자가 택시 기사에게 전화를 거는 경우 택시기사의 전화번호가 노출이 되며, 그렇게 통화 연결이 되면 반대로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한 노출이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안심번호 라는 시스템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승객이 취객인 경우 불화가 있을 때 사용자게에 계속해서 협박 전화가 오는 경우도 있으며, 사용자와의 불화가 있었을 경우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노출이 되어 개인적으로 계속해서 연락이 오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앱의 리뷰를 확인 해 보면, 사용자들의 전화번호가 노출 되는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솔직한 리뷰를 하기가 꺼려진다는 의견이 있었다. 사용자 리뷰를 직접적으로 열람이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혹여나 서비스 사용자에게 불편한 상황이 발생 할 수 있기에 이와 같은 상황이 꺼려진다는 것이 이유이다.

 

이와 같은 경우,  

 

1) 카카오택시의 앱 경우 카카오톡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카카오톡에서 제공해 주는 익명 톡방과 같이 익명의 아이디를 설정 하고 카카오톡 음성 통화 서비스를 닉네임으로 연결 해 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별점과 리뷰도 또 다른 임의의 아이디를 부여 해 평가 할 수 있게 한다면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평가 할 수 있고 더 서비스를 개선 해 나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카카오톡의 익명 아이디 기능 사용 + 카카오톡 음성통화 서비스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