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ulip Usage and Experience
1.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개념
처음으로 원하는 오픈소스를 찾아 보고, PC에 직접 설치 해 보는 과정을 겪어 보았다.
처음에는 오픈소스의 개념을 이해 하는 것 부터 조금 어렵게 느껴졌다.
깃허브에서 둘러보고, 강의영상에 따라 다양한 키워드로 검색해보니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개발자가 다양한 기능들을 구현한 소프트웨어를 공개 한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해서 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이 발생 할 수 있다는 개념을 이해하게 되었다.
처음에 내가 선택한 오픈소스는 KeePass 라는 소프트웨어였다.
내가 직접 소스를 다루어 보는것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했고, 내가 다루어 볼 수 없었다.
다른 소프트웨어를 선택하게 되었지만,
Install 하는 과정에서 개발환경을 구축하는데
발생하는 에러 메세지들을 따라가면 해결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을 경험했다.
2. Zulip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설치과정
Python 언어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들을 github에서 둘러보다가,
Zulip 이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알게 되었다.
Zulip 은 bots 개념을 이용해서 다양한 사용자들이 chatting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였다.
Zulip 에는 여러 가지 API 를 제공 해 주고 있었다.
3. Zulip 기반 오픈소스 프로젝트 RSVPbot
Zulip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프로젝트인 RSVPbot 라는 프로젝트도 알게 되었다.
한번 살펴보고 싶어서 시간상, 설치 하는 과정까지만 적어보았다.
깃허브 주소
https://github.com/kokeshii/RSVPBot
github.com
이 오프소스 프로젝트는,
Zulip 대화를 이벤트 컨텍스트로 변환하는 간단한 Zulip 봇이다.
간단한 명령을 사용하여 이벤트에 rsvp를 작성하고 시간, 장소를 설정하고 RSVP가있는 모든 사람을 쉽게 핑할 수 있다.
( RSVP: 프랑스어 “répondez s'il vous plaît”약자, “답장해주세요(Please respond)”의 의미. )
git clone 한다.
환경변수를 설정 해준다.
(export 명령어를 통해서 쉘 변수를 환경변수로 저장할 수 있다.)
pip install - r reqirements.txt 로 필요한 파이썬 requirements 들을 설치 해 준다.
openssl/opensslv.h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없다며 error 가 생겼다.
install 하였다. 다시 pip install 실행.
에러가 난다.
에러 문구를 구글링 해보고,
pip install Scrapy 를 해주었다.
그리고 나서 다시 requrement.txt를 install 했는데
이번에는 segmentation 오류가 났다.
+ ) 이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도구
Google Cloud SDK(=gcloud) 설치하기.
https://jungwoon.github.io/google%20cloud/2017/10/26/install-gcloud/
Google Cloud 제품 및 서비스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도구 및 라이브러리
Cloud SDK는 Google Cloud에서의 개발을 위한 명령줄 도구 모음이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명령줄에서 바로
Compute Engine, Cloud Storage, BigQuery, 기타 Google Cloud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RSVPbot 프로젝트도 한번 깔아 보고 실행 해 다루어 보고 싶고,
Zulip을 좀 더 공부 해서
나만의 cahtting app Zulip을 활용한 오픈소스프로젝트도 만들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